정치,경제,사회,문화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속 ‘되’와 ‘말’, 정확한 뜻은?

홍티비 2025. 4. 20. 19:33
728x90
반응형

 

 

 

속담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에 나오는 ‘되’와 ‘말’은 무슨 뜻일까요? 이 속담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 그리고 현대적 해석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듣는 속담 중 하나가 바로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입니다. 이 표현은 누군가에게 적은 것을 주었지만 그로 인해 훨씬 큰 이익이나 보상을 얻게 되었다는 뜻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되’**와 **‘말’**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되’와 ‘말’은 단위입니다

먼저 ‘되(升)’는 과거 곡식이나 액체 등의 부피를 잴 때 쓰던 전통적인 용량 단위입니다. 1되는 약 1.8리터 정도이며, 지금으로 치면 작은 그릇 하나 분량입니다. 반면, ‘말(斗)’은 ‘되’보다 큰 단위로, 1말 = 10되에 해당합니다. 즉, 되보다 10배 많은 양을 뜻하는 것이죠.

속담의 의미는?

이 속담은 누군가에게 조금(되)만큼 베풀었는데, 그 결과로 상대에게서 훨씬 큰 보답(말)을 받는 상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적게 주고 크게 얻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작은 도움을 줬는데 그 친구가 큰 은혜로 갚는 경우, “되로 주고 말로 받았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요즘 말로 하면 ‘작은 투자로 큰 수익을 얻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반어적으로도 쓰인다

하지만 이 속담은 때때로 반어적인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즉, 다른 사람이 내게 아주 조금만 베풀었는데, 그에 비해 내가 과하게 보답해야 하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표현할 때도 씁니다.

예: “나는 되로 줬는데, 왜 말로 갚으라고 해?”
이처럼 불균형하거나 억울한 상황을 표현할 때도 등장하는 속담입니다.

속담의 현대적 활용

오늘날에도 이 속담은 다양한 맥락에서 쓰입니다. 마케팅, 비즈니스, 인간관계 등 여러 분야에서 "작은 행동이나 투자로 큰 효과를 얻는다"는 메시지를 전할 때 효과적인 표현이죠.

예:

  • “이메일 하나 보냈는데 계약이 성사됐어. 되로 주고 말로 받았네.”
  • “작은 친절이 상대의 큰 감동으로 돌아왔다. 되로 주고 말로 받는 순간이었지.”

 


결론 및 요약

속담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조금 주고 많이 받는 상황을 뜻하며, 여기서의 ‘되’는 소용량, ‘말’은 대용량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부피 단위입니다. 이 속담은 긍정적인 의미로도, 때로는 비판적 의미로도 사용되며, 고사성어처럼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표현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