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문화

리그 16위, 17위가 유로파 결승?

홍티비 2025. 5. 26. 15:06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최근 손흥민 선수가 활약하는 토트넘 홋스퍼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같은 빅클럽들이 때때로 리그 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리그 16위, 17위 팀이 어떻게 유로파리그에 나갔냐?", 심지어 "결승이 16위 vs 17위 대결이라니 수준하고는..." 식의 조롱 섞인 글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분명 "유럽 대항전은 리그 성적이 좋은 팀만 나가는 거 아니었어?"라는 순수한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바로 이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 드리고자 합니다! 프리미어리그(PL) 중하위권 팀도 유로파리그(UEL) 무대를 밟을 수 있는 비밀, 그리고 그 '조롱글'에 담긴 오해와 진실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1. "리그 순위가 전부가 아니다!" – 유로파리그 진출권의 다양한 경로

많은 분들이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은 오직 해당 시즌 리그 순위로만 결정된다고 생각하십니다. 물론 리그 순위는 가장 기본적인 진출권 확보 방법이지만, 전부는 아닙니다! 특히 유로파리그 진출 자격은 생각보다 다양한 경로로 주어집니다.

  • 경로 1: 자국 리그 순위 (기본 중의 기본)
    •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PL)의 경우, 보통 리그 5위 팀에게 다음 시즌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리그 직행 티켓이 주어집니다.
    • 상황에 따라 6위, 심지어 7위 팀에게도 기회가 돌아갈 수 있습니다. (아래 '컵 대회 우승팀' 변수 참조)
  • 경로 2: 자국 컵 대회 우승팀 (가장 큰 변수이자 기회!)
    • 이것이 바로 '리그 순위가 낮은 팀도 유로파리그에 갈 수 있는' 핵심 열쇠입니다!
    • FA컵 우승팀: 잉글랜드에서 가장 권위 있는 컵 대회인 FA컵 우승팀은 리그 순위에 상관없이 다음 시즌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리그 직행 티켓을 획득합니다. 예를 들어, 리그 10위 팀이 FA컵에서 우승했다면, 그 팀은 당당히 유로파리그로 진출합니다.
    • 카라바오컵(리그컵) 우승팀: 리그컵 우승팀에게는 다음 시즌 유로파 컨퍼런스리그(UECL)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주어집니다. (엄밀히는 유로파리그 바로 아래 단계지만, 이 역시 유럽 대항전입니다.)
  • 경로 3: UEFA 주관 대회 성적 (챔스/유로파/컨퍼런스리그)
    • 유로파 컨퍼런스리그(UECL) 우승팀: 전 시즌 UECL 우승팀은 다음 시즌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리그 직행 티켓을 받습니다. 2022-23시즌 웨스트햄 유나이티드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당시 리그 14위였지만 UECL에서 우승하며 2023-24시즌 유로파리그에 진출했죠.

2. '조롱글'의 오해: "16위, 17위 팀이 어떻게 유로파에?"

자, 이제 "리그 16위, 17위 팀이 유로파리그 결승에 올랐다"는 식의 글이 왜 나오는지, 그리고 그 안에 어떤 오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오해 1: 현재 리그 순위 = 유럽 대항전 참가 자격? (X)
    • 유럽 대항전 참가 자격은 '지난 시즌'의 성과를 기준으로 다음 시즌 출전권이 주어집니다.
    • 만약 A팀이 2022-23시즌에 FA컵에서 우승하고 리그는 16위로 마쳤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팀은 2023-24시즌 유로파리그에 진출합니다. 그런데 2023-24시즌 도중 이 A팀의 리그 성적이 또다시 16~17위를 맴돌고 있다면, 사람들은 "아니, 지금 리그 17위인 팀이 어떻게 유로파리그에 뛰고 있는 거야?"라고 오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즉, 유로파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그 순간의 리그 순위가 아니라, 지난 시즌의 성과(FA컵 우승 등)로 진출권을 따낸 것입니다.
  • 오해 2: 해당 팀들의 실제 상황과 다른 '가정' 또는 '과장'
    • 실제로 PL 16위, 17위 팀 두 팀이 동시에 유로파리그 결승에서 만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한 팀이 FA컵 우승, 다른 팀이 UECL 우승 등으로 극적으로 올라오지 않는 이상 어렵습니다.
    • '조롱글'은 특정 팀(예: 토트넘, 맨유)이 해당 시즌 리그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일 때, 그들의 유럽 대항전 참가 이력이나 현재 상황을 비꼬기 위해 다소 과장되거나 일반화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토트넘이나 맨유가 리그 6~7위 정도로 유로파리그에 진출했더라도, 그 시즌 리그에서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거나 중위권으로 처지면 "저 성적으로 무슨 유로파냐" 식의 비판이 나오는 것과 비슷합니다.

3. "FA컵 우승팀이 이미 유럽 대항전 티켓을 갖고 있다면?" (티켓 승계 규칙)

여기서 또 하나의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FA컵 우승팀이 이미 리그 성적으로 챔피언스리그(UCL)나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확보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 리그 3위 팀이 FA컵까지 우승한 경우입니다.

  • 이 경우, FA컵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유로파리그 티켓은 리그에서 유럽 대항전 진출권을 얻지 못한 차순위 팀에게 승계됩니다.
  • 보통 PL에서는 리그 5위까지 UEL/UCL 티켓이 배분되므로, FA컵 우승팀이 이미 상위권이라면 리그 6위 팀에게 유로파리그 티켓이 돌아갈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리그컵 우승팀도 이미 유럽 대항전 티켓을 확보했다면, 이 티켓 역시 리그 차순위 팀에게 넘어갈 수 있어, 때로는 리그 7위 팀까지 유로파리그나 컨퍼런스리그에 진출하는 행운을 얻기도 합니다.

4. 토트넘과 맨유의 실제 유로파리그 진출 사례는?

  • 토트넘 홋스퍼: 주로 리그 5~6위권 성적으로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거나, 컵 대회 우승팀의 티켓 승계로 참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손흥민 선수 입단 이후 꾸준히 유럽 대항전에 나섰지만, '리그 16위' 수준의 성적으로 FA컵 우승을 통해 극적으로 진출한 사례는 최근에 찾기 어렵습니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맨유는 리그 성적, FA컵 우승, 심지어 유로파리그 우승(2016-17)을 통해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경험했습니다. 2023-24시즌 FA컵에서 우승하며 리그 성적(8위)과 관계없이 2024-25시즌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확보한 것이 가장 최근의 좋은 예입니다. 만약 맨유가 FA컵 우승 없이 리그 8위로 시즌을 마쳤다면 유럽 대항전 진출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결론: 조롱보다는 정확한 정보로 즐기는 유럽 축구!

"리그 16위, 17위 팀이 유로파리그 결승에 간다"는 말은 대부분 해당 팀의 부진한 '현재' 리그 성적을 과거의 '유럽 대항전 진출 자격'과 엮어 비꼬는 표현일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는 리그 순위 외에도 FA컵 우승, UECL 우승 등 다양한 경로로 유로파리그 진출이 가능하며, 이는 하위권 팀에게도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이제 누군가 비슷한 '조롱글'을 올린다면, "아, 저건 지난 시즌 FA컵 우승했거나 해서 나간 걸 지금 리그 순위 안 좋다고 비꼬는 거구나!" 하고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겠죠?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흥미로운 UEFA 클럽 대항전 진출권의 세계, 정확히 알고 더욱 재미있게 유럽 축구를 즐기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