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보는 법, '이 주식 싼 걸까?' 1분 만에 판단하는 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좋은 주식,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드는 고민, "어떤 주식을 사야 할까?" 그리고 "지금 이 가격이 싼 걸까, 비싼 걸까?"입니다. 수많은 정보 속에서 좋은 기업을 고르는 것은 마치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찾는 것과 같습니다.
이때, 우리에게 가장 강력한 나침반이 되어주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PER(Price-to-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입니다. PER은 주식 투자의 '기초 체력'과도 같은 개념으로, 이것 하나만 제대로 알아도 '묻지마 투자'에서 벗어나 현명한 투자의 첫걸음을 뗄 수 있습니다. 오늘, 이 PER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1. PER(주가수익비율)이란 무엇인가?
PER은 '주가수익비율(Price-to-Earnings Ratio)'의 약자입니다. 단어 그대로,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몇 배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주가: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1주의 가격
- 주당순이익(EPS, Earnings Per Share): 회사의 1년 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 즉,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내는지를 의미합니다.
[쉽게 이해하기: 붕어빵 가게 비유]
여기 1년에 1,000원의 순이익을 내는 붕어빵 가게가 있습니다.
- A 시나리오: 이 가게를 10,000원에 인수한다면?
- PER = 10,000원(가격) ÷ 1,000원(순이익) = 10배
- B 시나리오: 이 가게를 5,000원에 인수한다면?
- PER = 5,000원(가격) ÷ 1,000원(순이익) = 5배
PER 10배는 이 가게가 10년 동안 벌어야 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이고, 5배는 5년이면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히 B 시나리오가 더 매력적인 투자겠죠? 즉, PER이 낮을수록 회사가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싸다)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그래서 PER,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PER의 개념을 알았다면, 이제 실전 활용법을 알아야 합니다.
첫째, 동종 업계와 비교하라!
PER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닙니다. 반드시 비슷한 사업을 하는 경쟁사와 비교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PER이 10배이고, 경쟁 반도체 회사인 A사의 PER이 20배라면, "삼성전자가 A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구나"라고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철강 회사의 PER과 바이오 회사의 PER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둘째, 과거의 나와 비교하라!
해당 기업의 과거 평균 PER과 현재 PER을 비교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어떤 기업의 평균 PER이 15배였는데, 현재 1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면 '과거에 비해 싸졌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셋째, PER이 높다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이 '낮은 PER = 좋은 주식'이라고 오해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 고(高)PER 주식: PER이 높은 주식(예: 30배, 50배)은 현재 버는 돈에 비해 주가가 비싸다는 의미지만, 동시에 시장이 '이 회사는 앞으로 엄청나게 성장할 거야!'라는 높은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 성장주, 기술주, 바이오주)
- 저(低)PER 주식: PER이 낮은 주식은 저평가된 매력적인 주식일 수도 있지만, 반대로 '이 회사는 더 이상 성장 가능성이 없어'라고 시장이 판단하여 인기가 없는 주식일 수도 있습니다.
3. PER의 함정: 이것만은 꼭 주의하세요!
PER은 훌륭한 도구지만, 맹신하면 위험합니다. PER을 볼 때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일회성 이익: 회사가 공장이나 건물을 팔아서 갑자기 큰 이익을 냈다면, 그 해의 EPS는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고 PER은 낮아집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이익이 아니므로 착시 효과에 속으면 안 됩니다.
- 적자 기업: 회사가 적자를 내고 있다면 (EPS가 마이너스), PER은 계산되지 않거나 의미가 없습니다.
- 경기 순환주: 경기에 따라 실적이 크게 변하는 철강, 화학, 건설 등의 업종은 호황기에는 이익이 커져 PER이 낮아지고, 불황기에는 이익이 줄어 PER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론: PER은 투자의 '시작점'이다
PER은 복잡한 기업의 가치를 '이익'이라는 기준으로 단순화하여 보여주는 매우 유용한 '가격표'입니다. 하지만 가격표만 보고 물건을 사지 않듯, PER이 낮다고 무조건 투자해서는 안 됩니다.
PER로 저평가된 기업을 발굴했다면(1단계), 그 기업이 정말로 미래 성장성이 있는지, 재무 상태는 튼튼한지 등(2단계)을 추가로 분석하는 것이 현명한 투자의 순서입니다. PER을 투자의 '정답'이 아닌, 옥석을 가리는 '첫 번째 거름망'으로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