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문화

유튜버, 스트리머 사업자등록, '업종코드 940306'이 정답인 이유 (세금 감면 혜택 총정리)

홍티비 2025. 6. 23. 16:55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취미가 직업이 된 당신을 위한 필수 가이드

 

유튜브, 트위치, 아프리카TV... 이제 1인 미디어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 어엿한 직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구독자가 늘고, 광고와 후원으로 꾸준한 수익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모든 크리에이터는 '세금'이라는 현실적인 고민과 마주하게 됩니다.

 

이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사업자등록'입니다. 수많은 업종코드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막막한 당신에게, 국가가 '크리에이터'를 위해 만들어준 특별한 코드가 있습니다. 바로 '업종코드 940306,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왜 이 코드가 유튜버, 스트리머에게 '정답'인지, 그리고 이 코드가 주는 엄청난 세금 혜택은 무엇인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업종코드 940306, 정확히 누구를 위한 코드인가?

업종코드 940306의 공식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업태: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업종: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이름 그대로, 인터넷/모바일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개인을 위한 코드입니다.

✅ 업종코드 940306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 유튜버: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광고 수익, 슈퍼챗, 채널 멤버십 등으로 수익을 얻는 경우
  • 스트리머/BJ: 트위치, 아프리카TV, 치지직 등에서 실시간 방송을 진행하며 시청자 후원(별풍선, 트윕/투네이션 등)으로 수익을 얻는 경우
  • 틱톡커/인플루언서: 틱톡, 인스타그램 등에서 영상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

핵심은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통해 수익을 얻는다는 점입니다.


2. 왜 940306을 선택해야 하는가? (가장 강력한 이유: 세금 감면!)

많은 크리에이터가 과거에는 '940909(기타 자영업/프리랜서)' 코드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940306을 선택해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940306)'는 세법상 '창작 및 예술 관련 서비스업'으로 분류됩니다. 이 업종은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대상에 포함되어, 종합소득세 신고 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최대 100%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 창업가(만 15세~34세)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밖에서 창업 시: 5년간 소득세 100% 감면
  • 청년 창업가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내에서 창업 시: 5년간 소득세 50% 감면
  • 일반 창업의 경우: 소득에 따라 5% ~ 30% 세액 감면

반면, '940909(프리랜서)' 코드는 이러한 세액 감면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같은 수익을 올려도 어떤 코드를 선택했느냐에 따라 내야 할 세금이 엄청나게 차이 날 수 있는 것입니다.


3.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저는 굿즈(상품)도 파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이 경우 주업종과 부업종을 모두 등록해야 합니다.

  • 주업종: 940306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 나의 주된 수익원
  • 부업종: 525101 (전자상거래 소매업) - 굿즈 판매

이렇게 등록해야 각각의 소득에 대해 정확한 세금 신고가 가능하고,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Q2.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연 매출이 8,000만 원 미만으로 예상된다면 '간이과세자'로 등록하여 부가가치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기업으로부터 광고나 협찬을 받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면, 처음부터 '일반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니 본인의 주된 거래 방식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Q3. 글을 쓰는 블로거도 940306인가요?

A: 아닙니다. 940306은 '영상 콘텐츠' 제작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글이나 사진 기반의 콘텐츠로 수익을 얻는 블로거의 경우, 일반적으로 '940909(프리랜서)'나 '749911(정보서비스업)' 등을 사업 내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결론: 똑똑한 크리에이터의 현명한 절세 전략

업종코드 940306은 단순히 사업을 등록하는 행위를 넘어, 국가가 1인 미디어 창작자라는 새로운 직업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세제 혜택까지 부여하는 의미 있는 코드입니다.

 

나의 소중한 창작 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불필요한 세금으로 낭비하지 않으려면, 반드시 '940306' 코드를 기억하세요. 이는 당신의 성공적인 크리에이터 생활을 뒷받침해 줄 가장 강력하고 스마트한 절세 전략이 될 것입니다.

 

(※ 본 포스팅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복잡한 세무 관련 사안은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