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면은 있는데.. 왜 백제면, 고구려면은 없을까?

2025. 3. 17. 20:25정치,경제,사회,문화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의 인스턴트 라면. 1986년부터 주식회사 농심에서 생산하고 있다. 오뚜기의 진라면과 삼양식품의 삼양라면과는 라이벌 관계이다.

 

신라면은 '매울 신(辛)'자의 '맵다'는 뜻보다는 정확히는 농심 신춘호 회장의 성을 동시에 의미하는 중의적인 글자이다. 찍어먹는 춘면의 '春'자도 신춘호 회장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신라면은 한국 라면 시장의 원탑이 되었지만 춘면은 큰 인기를 얻지 못한 채 단종되었다.

 

출처: 나무위키

 

 

신라(新羅)

고구려(高句麗)

백제(百濟)

 

 

 

신라면은 있는데 왜 고구려면 백제면은 없냐

있는데용.

meet2.kr

 

 

이 글을 쓰고 잠시 후 보니 '백제면'이 출시 되었네요 ㅎ.

2025.03.17 14:50

 

 

한국의 대표 라면 브랜드 중 하나인 "신라면"은 국내외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신라면이라는 이름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브랜딩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가끔 의문을 가집니다. "신라면은 있는데 왜 백제면이나 고구려면은 없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면서도 흥미로운 브랜딩 전략과 시장 논리에 기인합니다.


1. 신라면의 기원과 성공 요인

신라면은 농심이 1986년에 출시한 제품으로, 브랜드명에서부터 "신라"라는 단어를 차용해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했습니다. 신라는 한반도 역사에서 문화와 예술이 번성했던 삼국 시대의 대표적인 국가로, 브랜드 이미지와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또한 "매운맛"이라는 제품 특징이 신라라는 단어가 주는 강렬하고 독특한 인상과 조화를 이루면서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게 된 것입니다.


2. 왜 백제면과 고구려면은 없는가?

(1) 역사적·문화적 상징성의 차이

신라는 삼국 통일을 이루어낸 국가로, 많은 사람들에게 강렬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백제와 고구려는 역사적으로 강력한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의 상징성에서는 신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신라라는 단어가 더 쉽게 발음되고 기억하기 좋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마케팅에서도 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습니다. 반면 "백제"와 "고구려"는 발음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한자 표기 역시 해외 소비자들에게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브랜드명과 정서적 연결

제품명은 소비자들에게 직관적이고 정서적인 연결을 제공해야 합니다. "신라면"은 매운맛과 강렬함을 동시에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라면의 특성과 잘 부합합니다. 반면, "백제면"이나 "고구려면"은 브랜드 이미지와 맛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키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3) 브랜딩과 차별화

신라면은 한국 라면 시장에서 이미 확고한 브랜드 파워를 구축했습니다. 새로운 브랜드로 "백제면"이나 "고구려면"을 출시하려면 기존 시장과의 차별화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백제나 고구려는 신라처럼 강렬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3. 백제면과 고구려면의 가능성은?

(1)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가능성

만약 "백제면"이나 "고구려면"이라는 브랜드가 등장한다면, 특정 지역의 특산물이나 역사적 스토리를 접목한 프리미엄 라면으로 출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제는 충청권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가 번성했던 만큼,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라면이 될 수 있습니다.

(2) 고구려면의 글로벌 브랜딩 가능성

고구려는 대제국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글로벌 브랜딩 전략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강력한 맛"을 강조한 제품이나 "왕의 식탁"과 같은 고급스러운 테마를 접목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신라면이 성공한 이유는 브랜드명에서 오는 강렬한 이미지와 제품 특성의 조화 덕분입니다. 반면, 백제면이나 고구려면은 역사적 상징성, 발음의 난이도, 그리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브랜딩 가능성에서 신라면과 비교해 약간의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지역 특산물을 결합하거나 고유한 스토리를 개발한다면 백제면과 고구려면도 충분히 매력적인 브랜드로 탄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라면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소비자들은 늘 새로운 경험을 원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백제면과 고구려면 같은 브랜드가 등장한다면 흥미로운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블루존] 봉지라면 4종 (신라면5p + 진라면매운맛5P + 짜파게티 5p + 열라면5P) 세트, 1세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