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2)
-
[경제]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숏 커버링 (Short Covering 환매수), 숏스퀴즈 (Short Squeeze)
[경제]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숏 커버링 (Short Covering 환매수), 숏스퀴즈 (Short Squeeze)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공매도(空賣渡)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산을 매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대로 혹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차후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종목을 하락한 주가로 되사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즉, 특정 종목의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상환시기가 되면 다시 매수하여 갚는 방식으로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이 나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공매도는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주요 방법 중 하나다. 주식 투자만 한다면 KODEX 인버스 등 지수 역추종 ..
2023.06.15 -
[경제] 패시브 펀드 (Passive Fund)
[경제] 패시브 펀드 (Passive Fund) 투자가가 스스로 종목이나 테마를 선택하지 않고 시장 흐름에 맡기는 펀드, 즉 KOSPI, MSCI, S&P500 등의 지수 흐름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자금이다. 패시브 펀드는 주가 지수 흐름에 따라 투자하는 펀드이므로 해당 지수에 포함된 종목에는 패시브 펀드의 자금이 유입된다. MSCI 등과 같은 지수에 특정 기업이 편입되는 경우, 기관은 의무적으로 해당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담아야 하며 이로 인해 자금 유입이 많아지기 때문에 편입 종목은 주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면, 공매도의 대상이 되기 되기도 한다. ※ 액티브 펀드 (Active Fund) 종목이나 테마, 시장 타이밍 등의 시장 움직임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자금이다 ..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