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권한대행(2)
-
대통령 궐위 시 선거 절차
공직선거법[시행 2025. 4. 1.] [법률 제20902호, 2025. 4. 1., 일부개정]제35조(보궐선거 등의 선거일) ①대통령의 궐위로 인한 선거 또는 재선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재선거를 제외한다. 이하 제2항에서 같다)는 그 선거의 실시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60일 이내에 실시하되,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대통령 또는 대통령권한대행자가 공고하여야 한다. ②보궐선거ㆍ재선거ㆍ증원선거와 지방자치단체의 설치ㆍ폐지ㆍ분할 또는 합병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장 선거의 선거일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국회의원ㆍ지방의회의원의 보궐선거ㆍ재선거 및 지방의회의원의 증원선거는 매년 1회 실시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보궐선거ㆍ재선거는 매년 2회 실시하되, 다음 각 목에 따라 실시한다. 이 경우 각 목..
2025.04.02 -
헌법재판소 구성권 침해 결정과 대통령 권한대행의 임명 지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5년 2월 27일 헌법재판소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행위가 헌법 위반임을 명확히 판시했습니다. 이 결정은 대통령 권한대행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헌법재판관 임명 절차를 즉각 진행해야 할 책임을 부여합니다. 하지만 이를 지체하거나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법적·헌법적 결과는 무엇일까요? 헌법 및 관련 법 조항헌법 제111조 제2항은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대통령의 권한과 책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헌법 제66조 제2항과 헌법제69조는 대통령이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 권한을 ..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