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11)
-
[문화][여행] 항공권에 표시된 NVA
NVA : 항공권 유효기간 표시 약어 'Not Valid After', 즉 정해진 날 이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NVB : 항공권 유효기간 표시 약어 'Not Valid Before', 즉 정해진 날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2024.02.20 -
[법령 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약칭: 공수처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약칭: 공수처법)[시행 2022. 9. 10.] [법률 제18861호, 2022. 5. 9., 타법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설치와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고위공직자”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의 직(職)에 재직 중인 사람 또는 그 직에서 퇴직한 사람을 말한다. 다만, 장성급 장교는 현역을 면한 이후도 포함된다. 가. 대통령 나. 국회의장 및 국회의원 다. 대법원장 및 대법관 라. 헌법재판소장 및 헌법재판관 마. 국무총리와 국무총리비서실 소속의 정무직공무원 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정무직공무원 ..
2024.02.14 -
[기업은행] i-ONE Bank 앱에서 청약통장 해지 방법
[기업은행] i-ONE Bank 앱에서 청약통장 해지 방법 ※ 청약통장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영업점을 방문하여 대출금을 상환한 후에 해지 할 수 있습니다. 1. [기업은행] i-ONE Bank 앱을 실행한 후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메뉴를 클릭한다. 2. '뱅킹 > 예금' 항목을 클릭한다. 3. '뱅킹 > 예금 > 예금해지' 항목을 클릭한다. 4. 해지하고자 하는 청약통장을 선택한다. 5. 유의사항을 읽어보고 해지하고자 하면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2024.02.14 -
[법령 등]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약칭: 정보공개법 )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 약칭: 정보공개법 ) [시행 2023. 11. 17.] [법률 제19408호, 2023. 5. 16., 타법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공공기관이 보유ㆍ관리하는 정보에 대한 국민의 공개 청구 및 공공기관의 공개 의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국정(國政)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국정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3. 8. 6.]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정보”란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전자문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전자매체를 비롯한 모든 형태의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을 말한다. 2. “공개”란 공공기관이 이 법에 ..
2024.02.14 -
[경제][부동산] 부동산소유현황
부동산소유현황 서비스 안내부동산소유현황 서비스는 특정 명의인이 현재 소유한 부동산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본인 또는 포괄승계인이 신청할 수 있으며, 부동산 등기기록에서 본인 또는 피상속인의 성명(명칭)과 (주민)등록번호가 일치한 경우에만 조회됩니다.실지명의 확인 가능한 전자서명 인증서(법인의 경우 전자증명서)를 통하여 본인인증이 된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피상속인의 배우자 또는 자녀가 인터넷등기소를 이용하여 신청하는 경우, 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서 피상속인의 사망여부와 신청인이 피상속인의 배우자 및 자녀로 확인된 경우에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부동산소유현황의 열람 수수료는 인터넷등기소 이용시 1,000 원(정액), 등기소 방문시 1,200 원(20장 초과시 장당 50원 추가 과금) 입..
2024.02.13 -
[법령 등] 검찰청법 [시행 2022. 9. 10.] [법률 제18861호, 2022. 5. 9., 일부개정]
검찰청법 [시행 2022. 9. 10.] [법률 제18861호, 2022. 5. 9.,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검찰청의 조직, 직무 범위 및 인사와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9. 11. 2.] 제2조(검찰청) ① 검찰청은 검사(檢事)의 사무를 총괄한다. ② 검찰청은 대검찰청, 고등검찰청 및 지방검찰청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9. 11. 2.] 제3조(검찰청의 설치와 관할구역) ① 대검찰청은 대법원에, 고등검찰청은 고등법원에, 지방검찰청은 지방법원과 가정법원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한다. ② 지방법원 지원(支院) 설치지역에는 이에 대응하여 지방검찰청 지청(支廳)(이하 “지청”이라 한다)을 둘 수 있다. ③ 대검찰청의 위치와 대검찰청 외의 검찰청..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