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사회,문화(1238)
-
[경제]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경제]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 비공개로 소수 투자자로부터 돈을 모아 주식과 채권, 기업이나 부동산 등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펀드다. - 기업에 투자할 때 대부분 차입매수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남긴다.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모펀드(Public Equity Fund)와 다르게 회원 구성을 제한한다. - 일반적으로 정부 규제를 덜 받고 기대수익률은 높지만 위험성 역시 크다. ※ 차입매수 (Leveraged Buyout LBO) 차입매수(Leveraged Buyout; LBO)라 함은 기업인수를 위한 자금의 상당 부분을 피인수회사의 자산 또는 장래의 현금흐름을 담보로 차입한 자금으로 충당하여 대상회사를 인수하는 기업 인수합병(M&A)의 한 방법으로 1980년대부터 미국에..
2023.06.16 -
[사회] 실손보험금 청구 간소화
[사회] 실손보험금 청구 간소화 보험업계의 숙원 ‘제2의 건강보험’으로 꼽히는 실손의료보험 청구 간소화(실손 간소화) 실현이 14년 만에 가시권에 들어왔다. 실손 간소화 관련법들은 지난 14년간 꾸준히 발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왔다. 국회 정무위는 15일 오후 전체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험업법 일부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실손의료보험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하고, 가입자 요청에 따라 관련 서류를 보험회사에 전자로 전송하도록 하는 등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간 실손의료보험 청구를 하려면 보험 가입자가 직접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해 서류를 발급받아 보험사에 제출해야 했다. 그러나 법안이 통과되면 이런 복잡한 절차 없이 청구를 할 수 있으며, 기업들은 종이 서류 ..
2023.06.16 -
[경제]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숏 커버링 (Short Covering 환매수), 숏스퀴즈 (Short Squeeze)
[경제]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숏 커버링 (Short Covering 환매수), 숏스퀴즈 (Short Squeeze) 숏 셀링 (Short Selling 공매도) 공매도(空賣渡)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산을 매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대로 혹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차후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종목을 하락한 주가로 되사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즉, 특정 종목의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상환시기가 되면 다시 매수하여 갚는 방식으로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이 나는 거래방식을 의미한다. 공매도는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주요 방법 중 하나다. 주식 투자만 한다면 KODEX 인버스 등 지수 역추종 ..
2023.06.15 -
[경제] 선물 vs 옵션
[경제] 선물(Futures) vs 옵션(Option) 파생상품(Derivatives)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파생상품 거래의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은 주식ㆍ채권ㆍ통화 등의 금융상품, 농ㆍ수ㆍ축산물 등의 일반상품 등도 가능하며, 신용위험 이외에 자연적ㆍ환경적ㆍ경제적 현상 등에 속하는 위험으로서 합리적이고 적정한 방법에 의해 가격ㆍ이자율ㆍ지표ㆍ단위의 산출이나 평가가 가능한 것은 모두 포함된다. 또한 파생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옵션선물, 선물옵션, 스왑옵션 등)도 가능하다.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물, 옵션, 주식워런트증권(ELW), 주가연계증권(ELS), 주가지수연계펀드(ELF), FX마진거래(외환차익거..
2023.06.10 -
콜옵션(call option)과 풋옵션(put option)이란?
콜옵션과 풋옵션은 금융시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특정 자산을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 옵션은 주식, 외환, 금리,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에 대해 거래될 수 있습니다. 콜옵션과 풋옵션의 기본 개념과 차이를 잘 이해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중요한 부분입니다.1. 콜옵션 (Call Option)콜옵션은 특정 자산을 미리 정해진 가격(행사가격)으로, 특정 기간 내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는 매수자가 자산을 구매할 권리를 가지지만, 의무는 아닙니다. 즉, 콜옵션의 보유자는 시장에서 가격이 상승할 경우 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예시:A주식의 현재 가격이 100달러이고, 3개월 후에 120달러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투..
2023.06.10 -
[경제] 패시브 펀드 (Passive Fund)
[경제] 패시브 펀드 (Passive Fund) 투자가가 스스로 종목이나 테마를 선택하지 않고 시장 흐름에 맡기는 펀드, 즉 KOSPI, MSCI, S&P500 등의 지수 흐름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자금이다. 패시브 펀드는 주가 지수 흐름에 따라 투자하는 펀드이므로 해당 지수에 포함된 종목에는 패시브 펀드의 자금이 유입된다. MSCI 등과 같은 지수에 특정 기업이 편입되는 경우, 기관은 의무적으로 해당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담아야 하며 이로 인해 자금 유입이 많아지기 때문에 편입 종목은 주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면, 공매도의 대상이 되기 되기도 한다. ※ 액티브 펀드 (Active Fund) 종목이나 테마, 시장 타이밍 등의 시장 움직임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자금이다 ..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