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NE(22)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6 ~ 20)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6 ~ 20) 문제 16) 다음 중 배터리 보관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터리 폐기 시 소금물에 2~3일간 담가둔다. ② 다른 제품의 배터리를 연결해서는 안 된다. ③ 배터리 완충 후 충전기를 분리해야 한다. ④ 장기보관 시 완충하여 보관한다. ④ 장기보관 시 50~70%로 방전 후 보관한다 관련 문제) 배터리 정비 시 주의사항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한번 정해진 수명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② 항상 모니터링 해야 한다. ③ 과도하게 방전시키면 안된다. ④ 배터리를 자주 바꿔줘야 한다. ③ ■ 배터리 폐기는? - 1:1 비율의 소금물에 담군 후, 사람의 손이 닿지 않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2~3일 보관하여 완전히 방전한 후에 폐기합..
2023.04.09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1 ~ 15)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1 ~ 15) 문제 11) 인간의 시각에 대한 현상으로 틀린 것은? ① 푸르킨예 현상은 간상체와 관련이 있는 현상이다. ② 암순응(저녁)에서는 510mm에서 녹색광이 가장 밝게 보이고 명순응(새벽)에서 560mm상에서 황색광이 가장 밝게 보이며 중간시에는 푸르킨예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③ 밝은 대낮에 영화관에 들어갔다 나오면 암순응이 일어난다. ④ 어두은 곳에서는 단파장이 장파장보다 더 잘 보이며 푸른색은 회색으로 보이고 밝아 보인다. ③ 밝은 대낮에 영화관에 들어갔다 나오면 명순응이 일어난다. 관련 문제) 인간의 시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각의 공간 지각의 제일 중요한 감각은 방향, 회전, 운동, 거리감 등이다. ② 색..
2023.04.09 -
[법령] 항공안전법 시행령 [시행 2023. 1. 19.] [대통령령 제33103호, 2022. 12. 20., 일부개정]
항공안전법 시행령 [시행 2023. 1. 19.] [대통령령 제33103호, 2022. 12. 20.,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영은 「항공안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항공기의 범위) 「항공안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기를 말한다. 1.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속도 또는 자체중량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기기 2. 지구 대기권 내외를 비행할 수 있는 항공우주선 제3조(국가기관등항공기 관련 공공기관의 범위) 법 제2조제4호 각 목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이란 「국립공원공단법」에 따른 국립공원공단을..
2023.04.05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6 ~ 10)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6 ~ 10) 문제 6)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① 행정처분을 받고 비행하는 경우 ② 거짓으로 조종자 증명을 받은 경우 ③ 부정한 방법으로 조종자 증명을 받은 경우 ④ 주류를 섭취 후 비행하는 경우 ④ 취소하거나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효력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cf) ① ② ③ 취소하여야 한다 항공안전법 제125조(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등) ① 동력비행장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초경량비행장치를 사용하여 비행하려는 사람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의 장으로부터 그가 정한 해당 초경량비행장치별 자격기준 및 시험의 절차ㆍ방법에 따라 해당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을 위하여 발급하는 증..
2023.04.05 -
[법령] 항공안전법 [시행 2023. 1. 19.] [법률 제18789호, 2022. 1. 18., 일부개정]
항공안전법 [시행 2023. 1. 19.] [법률 제18789호, 2022. 1. 18.,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행을 위한 방법과 국가, 항공사업자 및 항공종사자 등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항공기”란 공기의 반작용(지표면 또는 수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으로 뜰 수 있는 기기로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다음 각 목의 기기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를 말한다. 가. 비행기 ..
2023.04.05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 ~ 5)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 ~ 5) 문제 1) 시카고 협약에 관련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유엔(UN) 산하기구로써 1944년 12월 7일 시카고 국제민간항공회의에서 국제민간항공협약이 서명되었다. ② 우리나라는 1968년에 가입했다. ③ 1947년 4월 4일에 26개국이 이 협약을 비준하면서 정식 발효되었다. ④ ICAO는 본문 96개 조항으로 된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이에 따른 19개 부속서(Annex)로 구성되었다. ② 우리나라는 1952년 12월 11일 에 가입했다. 관련 문제) 국제민간항공협약은 언제 제정되었나요? ① 1940년 12월 ICAO에서 제정 ② 1943년 12월 ICAO에서 제정 ③ 1944년 12월 ICAO에서 제정 ④ 1945년 12월 ICAO에서..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