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31)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26 ~ 30)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26 ~ 30) ※ 비행교수법 중 기준고도 문제 - 알고 있다고 쉽게 생각하다가 틀리는 문제 ■ 위치 및 고도 합격 기준 · 위치 : 경로이탈 없을 것 (기체 중심축 기준 좌우 1m까지 인정) · 고도 : 고도변화 없을 것 (기체 스키드 기준 기준고도 상하 0.5m까지 인정) 문제1) 초경량비행장치 지도조종자 과정 평가시험 - 비행교수법 문제 26) 주의공역이 아닌 것은? ① 경계구역(A) ② 비행금지구역(P) ③ 군작전구역(MOA) ④ 훈련구역(CATA) ② ■ 공역 1. 관제공역(권제권,관제구,비행장교통구역) 2. 비관제공역(조언구역,정보구역) 3. 통제공역(비행금지구역,비행제한구역,초경량비행장치 제한구역) 4. 주의공역(훈련구역,군작전구역..
2023.04.10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21 ~ 25)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21 ~ 25) 문제 21)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이 1년 이내의 그 효력이 정지되는 사항으로 아닌 것은? ①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을 받은 경우 ②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의 준수사항을 위반한 경우 ③ 주류를 섭취 후 비행하는 경우 ④ 항공안전법을 위반하여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 ①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이 1년 이내의 그 효력이 정지되는 사항으로 아닌 것은? =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을 취소하여야 하는 것은? 항공안전법 제125조(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증명 등) ① 동력비행장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초경량비행장치를 사용하여 비행하려는 사람은 국토교통부령으로..
2023.04.09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6 ~ 20)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6 ~ 20) 문제 16) 다음 중 배터리 보관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배터리 폐기 시 소금물에 2~3일간 담가둔다. ② 다른 제품의 배터리를 연결해서는 안 된다. ③ 배터리 완충 후 충전기를 분리해야 한다. ④ 장기보관 시 완충하여 보관한다.④ 장기보관 시 50~70%로 방전 후 보관한다 관련 문제) 배터리 정비 시 주의사항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① 한번 정해진 수명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② 항상 모니터링 해야 한다. ③ 과도하게 방전시키면 안된다. ④ 배터리를 자주 바꿔줘야 한다.③ ■ 배터리 폐기는? - 1:1 비율의 소금물에 담군 후, 사람의 손이 닿지 않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2~3일 보관하여 완전히 방전한 후에 폐기..
2023.04.09 -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1 ~ 15)
[드론] 조종교육 교관 과정 (무인멀티콥터) 필기시험 (문제 11 ~ 15) 문제 11) 인간의 시각에 대한 현상으로 틀린 것은?① 푸르킨예 현상은 간상체와 관련이 있는 현상이다.② 암순응(저녁)에서는 510mm에서 녹색광이 가장 밝게 보이고 명순응(새벽)에서 560mm상에서 황색광이 가장 밝게 보이며 중간시에는 푸르킨예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③ 밝은 대낮에 영화관에 들어갔다 나오면 암순응이 일어난다.④ 어두은 곳에서는 단파장이 장파장보다 더 잘 보이며 푸른색은 회색으로 보이고 밝아 보인다.③ 밝은 대낮에 영화관에 들어갔다 나오면 명순응이 일어난다. 관련 문제) 인간의 시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시각의 공간 지각의 제일 중요한 감각은 방향, 회전, 운동, 거리감 등이다.② 색채..
2023.04.09 -
[법령]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시행 2023. 1. 19.] [국토교통부령 제1188호, 2023. 1. 13., 일부개정]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시행 2023. 1. 19.] [국토교통부령 제1188호, 2023. 1. 13.,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칙은 「항공안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항공기의 기준) 「항공안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이란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말한다. 1.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가.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 다음의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것 1) 최대이륙중량이 600킬로그램(수상비행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650킬로그램)을 초과 할 것 2) 조종사 좌석을 포함한 탑승좌석 수가 1개 이상일 것 3) 동력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
2023.04.06 -
[법령] 항공안전법 시행령 [시행 2023. 1. 19.] [대통령령 제33103호, 2022. 12. 20., 일부개정]
항공안전법 시행령 [시행 2023. 1. 19.] [대통령령 제33103호, 2022. 12. 20.,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영은 「항공안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항공기의 범위) 「항공안전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 각 목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기를 말한다. 1. 최대이륙중량, 좌석 수, 속도 또는 자체중량 등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는 기기 2. 지구 대기권 내외를 비행할 수 있는 항공우주선 제3조(국가기관등항공기 관련 공공기관의 범위) 법 제2조제4호 각 목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이란 「국립공원공단법」에 따른 국립공원공단을..
2023.04.05